기본 네트워크 및 서버 운영관리 |
네트워크 운영관리 |
- 네트워크의 기능 (계층 모델, 프로토콜, 인터네트워킹)
- 네트워크 모델 (계층적 모듈구조, OSI 7계층 모델, TCP/IP모델
- 네트워크 기술 (LAN/WAN, 인터네트워킹, 서비스 품질)
- 하위 계층의 이해 (데이터 전송 기초, MAC 계층, 데이터 링크 계층)
- TCP/IP 프로토콜 (네트워크 계층의 기능, TCP/UDP의 이해)
- 상위 계층의 이해 (세션 계층, 표현계층, 응용계층)
- Application의 이해 (HTTP, HTTPS, FTP, TFTP, SMTP)
- CCNA 과정
|
서버 운영관리 |
- virtualbox / vmware 환경설정
- centos/ redhat/ubuntu 설치및 환경설정
- 기본명령어 및 편집기 활용
-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
- 계정관리, 권한설정, 프로세스 관리
- 원격접속과 파일전송
|
중급 네트워크 및 서버 운영관리 과정 |
네트워크 운영관리 |
- 실무에서 가장 기본적인 Router & Switch 과정 (CCNP 과정)
-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(Wireshark) 및 취약점 분석 (고급과정 연계 과정)
- Router & Switch를 이용한 네트워크 최적화 구성 방안 학습
- 네트워크 엔지니어 실무 능력 학습 (구성도 작성, 작업 계획서 작성, 장해처리 보고서, 제안서 작성)
- CCNP (Routing & Switch) 과정
|
서버 운영관리 |
리눅스 시스템 관리
- 파일시스템 설정 및 관리
- lvm,raid,swap 관리
- 패키지관리
- backup / restore
- network 설정
- scp, rsync
- boot procedure
- troubleshooting
|
고급 네트워크 및 서버 보안, 가상화 관리 과정 |
보안, 방화벽, 가상화 |
- Security (FW(방화벽), VPN, IPS(친입차단 시스템), ACS(인증서버)
- Network Mangement (SNMP, SYSLOG, NetFlow, NMS)
- VPN 구성방안 (GRE, DMVPN, IPSec)
- 내부 망 접속을 위한 VPN 구성방안 (SSL, Client VPN)
- MPLS, MPLS VPN을 위한 ISP구성 방안
- IPS를 이용한 취약점 분석및 취약점 방어 방안
- Gateway Redundancy(FSRP) 2중화 방안
- QoS, IPv6
|
서버 네트워크 서비스 |
리눅스 네트워크 및 서비스 관리
- TCP/ IP, 네트워크 설정, 서비스 관리
- IPv4, IPv6 설정
- bonding/ teaming,software bridge
- selinux / firewalld 설정
- DNS, WEB, FTP, MAIL, NFS, SAMBA
- 로그서버, SSH, 트러블슈팅
- pxe boot, kickstart
|
보안 |
서버 및 네트워크 보안 |
서버 및 네트워크 보안
- 데이터 암호화/복호화
- 파일시스템 암호화
- ids / ips
- 서버취약점 점검
- 로그파일 분석 및 로그서버 구성
- 보안 웹 서버 구성
- 네트워크 서비스 보안
|
가상화 |
KVM |
Linux Virtualization
- 가상화 개념과 KVM, Virtualization
- Virt Manager, 가상화 환경구성
- 가상 시스템 템플릿, 풀 & 사용자
|
클라우드 |
kubernetes |
컨테이너 관리
- 도커 / 쿠버네티스 설치 및 환경설정
- 도커 이미지 및 컨테이너 생성 및 관리
- kubernetes 네트워크 설정
- 오케스트레이션
- 로그 분석 및 관리
|
public cloud platform |
aws
- aws 와 ec2
- vpc
- rds
- storage 관리
- backup
|
azure
- Hyper- v
- instance
- virtual network
- storage
|
실무 환경 프로젝트 |
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 |
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관련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
- 프로젝트 기획 및 자료수집
- L2(Switch) 최적화 방안 구성
- Gateway Redundancy(FSRP) 2중화 방안
- OSPF를 이용한 L3 구성방안
- BGP를 이용한 IPS 회선 이중화 방안 및 Traffic load-sharing 방안
- ASA를 이용한 방화벽 및 NAT(PAT)구성 방안
- 지사 VPN 구성방안 (GRE, DMVPN, IPSec)
- 내부 망 접속을 위한 VPN 구성방안 (SSL, Client VPN)
- Network Management 구성방안 (SNMP, SYSLOG, NetFlow, ACS)
- MPLS, MPLS VPN을 위한 ISP구성 방안
- IPS를 이용한 취약점 분석및 취약점 방어 방안
- cloud를 활용한 private cloud 구축
|